알래스칸 말라뮤트

알래스칸 말라뮤트

1. 소개


썰매를 끄는 개. 스피츠 계통으로 이누이트 중 마흘레뭇 족(Mahlemut)이 처음부터 이 목적으로 개량했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 몸집도 큰 대형견에 근육질이고, 귀는 쫑긋하며[1] 꼬리도 늘 위로 쏠랑 말려 올라가 있어 늠름해 보인다. 회색-흰색-검은색 등이 섞여 있는게 일반적이나 극히 드물게 흰색 단색을 띄는 개체도 있다고 한다.


키는 55~70cm 정도이며 몸무게는 보통 30~50kg 정도의 대형견인데 우리나라에서는 키 70~80cm에 50~73kg정도 나가는 자이언트들이 더 많이 들어와 있다.[2][3] 문제는 가끔씩 알래스칸 말라뮤트랑 자이언트 말라뮤트가 다른 견종인 줄 착각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 자이언트는 그냥 자이언트일 뿐.


말라뮤트는 고립된 지역에서 자연적으로 생겨난 견종이기에 순종으로 인정받는 범위가 넓다. 웹상의 말라뮤트로 나오는 놈들 중 작은 덩치의 단모종의 경우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말라뮤트의 모습과는 많은 차이를 보인다.


단순히 덩치의 차이로 자이언트라 부르기도 하나 일반적으로 자이언트 말라뮤트는 우리가 생각하는 전형적인 말라뮤트의 모습으로 디자인 교배한 녀석들을 말한다. 보다 큰 덩치에 모색은 흑색과 백색이거나 적색과 백색, 그리고 풍성한 이중모의 장모종인 녀석들은 자이언트 말라뮤트 이거나 그 피가 많이 섞인 놈들로, 한국에서 키우는 대부분의 말라뮤트는 자이언트 말라뮤트의 영향이 없는 놈은 드물다. 당연히 원래의 말라뮤트에 비해 좁은 유전자 풀을 지녔고, 일종의 유전병을 가진 경우도 생기는데, 말라뮤트는 장이 약한 견종이라는 말은 자이언트 말라뮤트의 경우 대부분이 장이 약해서 생긴 얘기다.


2. 시베리안 허스키와의 차이점

시베리안 허스키와 비슷하게 생겨서 착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1. 허스키는 중형견[4], 말라뮤트는 대형견이다. 실제 두 종을 직접 육안으로 볼 경우 비교할 것도 없이 말라뮤트가 허스키보다 압도적으로 크다.

2. 허스키가 늑대처럼 날카롭고 매서운 인상이라면 말라뮤트는 상대적으로 둥글둥글하고 순하면서 듬직한 인상이라 곰같은 느낌을 준다.[5] 전체적인 몸매로 보면 허스키가 더 날씬하고 골격도 얇은 편. 말라뮤트는 균형 잡힌 근육질의 몸을 가지고 있으며, 보는 것만으로도 육중하다는 느낌이 든다.

3. 말라뮤트는 허스키보다 두상이 비교적 평평하고 귀 사이가 넓다.

4. 말라뮤트는 꼬리가 말려 올라가 있고, 허스키는 꼬리가 아래로 쳐져 있다.

5. 말라뮤트 쪽이 털이 좀 더 풍부하고 두텁다. 괜히 곰에 비유되는 것이 아니다.[6]

6. 눈색이 여러 가지인 허스키와는 달리 말라뮤트는 눈동자 색이 오로지 호박색이다. 특별히 유의할 것.

7. 그리고 소위 불꽃마크로 구별 가능한데 말라뮤트는 눈위에 흰색의 털로 불꽃마크가 있다면 허스키는 눈위 뿐만 아니라 그 사이 이마에도 흰색 털이 있어서 아디다스 상표같은 불꽃마크가 있다. (말라뮤트는 2개, 허스키는 3개의 무늬)


다만, 허스키와 말라뮤트의 기질은 비슷한 점이 꽤 많기야 하다.


허스키보다는 몸값이 비싸기에, 허스키와 교배한 잡종으로 사람 가지고 노는 업주들이 많다. 특히 문제인 게, 알래스칸 말라뮤트의 눈동자 색은 호박색밖에 없다. 사기눈 말라뮤트는 100% 사기눈 허스키와 교배한 잡종이므로 이걸 미리 밝히지 않고 개를 팔려는 사람과는 상종도 하지 말자. 더 악질적인 업주는 어느 종인지 알 수 없는 종과 교배한 잡종을 순종이라고 팔아먹기도 한다. 국내에서는 드문 종이기 때문에 순종 여부를 구분할 수 있는 사람이 적어서 특히 더 피해보는 사람들이 많았다.[7] 단 말라뮤트가 많이 들어오며, 과거에 비해 몸값이 내려가 허스키와의 몸값 차이는 거의 없다.


3. 특징과 성격

인간의 썰매를 끌어주는 게 일이듯이 활동적인 데다 장난을 좋아하면서도 큰 말썽은 잘 안 부리는 편. 잘 짖는 편도 아니고 낯선 개와 마주쳤을 때 상대가 아무리 지*랄발광을 하더라도 그냥 멀뚱이 쳐다보고 있지 먼저 공격성을 보이는 경우는 드물지만 함께 사는 개들과의 서열정리 시에는 과격한 모습을 보일 수 있다.[8] 다만, 개도 개성이 있으니까 지*랄견에 맞먹는 위력을 발휘하기도 한다.


주인에게 충성스럽다는 말도 있는데, 키우는 사람 입장에서는 낯선 사람을 만나면 주인은 제쳐두고 낯선이에게 온갖 애교를 떠는 모습을 보이는 경우가 많아 꼭 주인에게만 충성심이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덕분에 다른 사람에게 짖거나 위협하는 경우가 드물고 생김새가 간지가 넘치면서도 주인이 우호적인 신호를 보내기 전에 다른 사람에게 먼저 애교를 부리는 편이라 산책 시에 인기만점. 단 견종을 어느 정도 아는 사람 한정. 애완동물과 거리가 아예 먼 사람들은 큰 개라면 일단 위협적으로 느낀다.


애들을 질투하는 퍼그 같은 견종과 달리 인내심도 있고 아이들을 돌보는 것도 잘 한다고 하는데, 썰매견 종류들이 아이를 사람으로 인식 못하는 경우 서열정리 대상으로 여기고 무는 경우가 있다는 얘기가 있으니 아이가 있는 견주라면 아이와 개 양쪽에 교육을 철저히 해야 한다.


크기가 크기인지라 공동주택에선 기르기 힘들고 마당이 필요하다. 개의 육체적, 정신적 건강을 위해선 많은 운동량을 필요로 하는 견종이라 어떤 견주들은 아예 전문 클럽에 보내서 차를 끌게 하기도 한다. 먹성도 엄청나서 똥은 소만큼 많이 싼다. 산책할 때는 개가 주인을 끌고 가는 광경도 종종 볼 수 있으며,[9] 놀아달랍시고 사람 갈비뼈에 앞발이라도 척 얹으면 그게 의외로 데미지가 상당하다.퍽


대형견은 멍청하다는 편견을 주는 견종 중 하나이지만, 사실 그리 멍청하지는 않다. 낯선 사람을 보면 주인의 명령은 아웃오브안중인 경우가 많고, 경계해야 될 상황에도 좋다고 꼬리부터 흔드는 놈들이라 멍청해 보이기도 한다. 앉아, 엎드려, 누워, 손 같은 간단한 명령도 빨리 익히기는 하지만, 그 후 자기 기분이 안 내키면 명령을 따르지 않는 경우가 많고, 간식같은 걸로 유인하려고 하면 시키지도 않았는데 자기가 먼저 가르치는 명령들을 자동으로 해버리고 난 후 주인이 또 시키면 기분나빠하며 항의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그래서 사람의 기준으로 훈련도가 빨리 오르지 않고 개 자신의 호기심과 본능을 우선시하는 견종이라 멍청하다는 이미지가 있다. 그래도 뇌가 근육으로 되어있다는 지*랄견들과는 달리 진중한 맛도 있으니 끈기있게 가르치면 주인의 명령을 우선시하는 모습을 보이게 된다고.


또한 살던 곳이 살던 곳이니만큼 언제나 냉방 대책 잘 세워줄 것.


목욕 한번 시키려면 각오 단단히 해야할 것이다. 샴푸 한통 정도의 양으로도 제대로 안되기 일쑤고 툭하면 몸을 털어대는 통에 씻는 사람도 물이 흥건해진다. 같이 씻는다고 생각하고 열반의 경지에 들면 괜찮아질 것이다.


덩치가 있고 털이 많은 놈들이다 보니 목욕할 때 얌전 있는다고 해도 보통 중노동이 아니다. 씻기기 전에 털 빗질하고, 씻은 후 털말리는 것 까지 하고 나면 전생의 업이 생각난다.


어느 동물이나 그렇듯이 새끼 말라뮤트는 마음을 치유하는 힘을 가졌다. 물론 크면 괴수가 된다.


참고로 사이렌 소리와 다른 울음소리를 듣거나 "계란이 왔어요" 소리를 들으면 늑대처럼 운다고 한다.


여담으로 교육방송의 세상에 나쁜 개는 없다에 소개되었을 당시 살생견 콜리가 이웃집의 토끼들을 물어 죽이는 것은 물론 삽살개까지 다치게 하는 충격적인 결과를 가질 정도 맹수의 본능이나 기질 등이 큰 견종으로 오해를 받는 것으로 봐야 한다.[10]


세상에 나쁜 개는 없다에 몇 번 더 등장했는데, 과한 공격성 표출로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경악을 자아내게 했다. 방송을 보면서 명심해야 할 것은 이는 말라뮤트가 일반적으로 보이는 모습이나 성격이 전혀 아니라는 것. 대형견 사육에 있어서의 매우 좋지 못한 환경과, 합사등의 스트레스로 생긴 비극적인 증상이라는 사실이다. 오죽 절망적인 사육환경이었으면 강형욱 훈련사가 견주가 아직 이 대형견을 키울 능력이 안되니, 추가로 입양한 말라뮤트 코코를 집에서 내보내야 한다고 주장을 하였겠는가. 댓글들 중에는 견주를 비난하는 반응이 거의 대다수


큰 개인 맬러뮤트는 보통 토끼나 작은 개들[11]에게만 위협적인 요소를 차지하게 되는 것은 아니며 심지어는 강력한 맞수인 진돗개나 핏 불 테리어까지 이길 능력도 물론 있는 것으로 나와 있다.


4. 경이로운 지구력


육상 포유류 중 장거리 달리기의 1인자는 썰매개들, 즉 말라뮤트와 허스키 개들이다.[12]


단거리 달리기에는 글리코겐이 에너지원으로 소모되며 장거리 달리기에는 지방과 단백질이 에너지원으로 소모되는데, 대부분의 동물은 단백/지방질을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는 과정에서 소량의 글리코겐을 소모한다. 때문에 체내에 지방과 단백질이 남아 있어도 글리코겐이 바닥나면 더 이상 달릴 수 없다.


그런데 썰매개들은 지방/단백질을 에너지원으로 이용할 때 글리코겐이 필요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즉 썰매개는 탄수화물 없이 지방/단백질로 이루어진 고기만 먹어서 바로 에너지로 쓸 수 있다. 썰매개는 하루에 풀코스 마라톤을 다섯 번 쉬지 않고 달릴 수 있으며, 밤에 밥을 먹고 잠을 자면 다음날 이것을 또 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열흘에 걸쳐 마라톤을 50번 달리는 것이 썰매개들의 일상이다.


그런데 영상에 나오듯이 하루에 몇번씩 코스 완주하는 썰매개들은 원래 평상시에 썰매를 끌고 다니는게 업인 애들이고, 현대 사회에 섞여서 살아가는 썰매개들은 저정도 체력은 안나온다. 국내외 개썰매 체험장을 가보면 대략 200m정도 전력질주 이후 전부 다 퍼져서 한손으로 썰매를 질질 끌고 남는 손으로 퍼진 댕댕이들을 업고 돌아오는 장면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단순히 최고 개체의 지구력만을 측정할거면, 한번에 700km를 달린 기록이 있는, 아메리카 원주민 중 하나인 타라우마라족의 러너가 넘사벽이다. 설령 에너지 효율에서 다른 동물들이 더 나을지라도 체온조절 능력에서 인간만큼 특출난 종족은 없다.


5. 매체에서의 말라뮤트

오로라 공주(드라마)에 나오는 개 떡대가 바로 이 종이다.


영화 에이트 빌로우에서 마야를 비롯한 8마리 썰매개중 대부분 역시 이 종이다.[13] 그런데 썰매개인데도 얘네들이 기지 밖의 눈 덮힌 벌판에서 서로 전략을 짜고 벌판위에 있는 새떼 무리들을 사냥하는 위엄있는 장면도 보여줬다!!


게임 허스키 익스프레스에선 말뮤라 불리며 마리로 플레이하면 초기 파트너견으로 등장한다. 힘에 특화된 견종으로 지구력에서 시베리안 허스키에 밀리기 때문에 딱히 인기가 좋지는 않다.


빙하에서 살아남기에서 주인공 레오의 반려견으로 등장한다. 그러나 먹성이 심각하여 덩치가 무색하게 선생님이나 레오에게 줘터지기 일쑤.


애니메이션 발토에 나오는 메인 빌런 스틸이 해당 견종이다. 다만 눈색은 밝은 하늘색인데 제작진에 따르면 악역의 느낌을 살리기 위해 일부러 그렇게 그렸다고 한다.


, ,

0 Comments

구조알림2024-03-29


오늘 0 마리의 동물이
구조되었습니다.

최근글


새댓글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